파일 안을 보면 사용방법 주석으로 표시되어 있음.
./mmslite802.sh LINUX
./mmslite802.sh LINUX clean
그리고 파일 안을 보면
make -f scl_srvr.mak $2 라고 적혀 있는
하위 make 파일 스크립트를 호출함.
2. scl_srvr.mak 파일 안
$(EXE): $(OBJECTS) $(LIBS)
rm -f $(EXE)
$(PLATFORM_LINKER) $(PLATFORM_LDFLAGS) $(LDFLAGS) $(PLATFORM_CFLAGS) $(CFLAGS) \
-o$(EXE) $(OBJECTS) \
$(LIBS) \
$(PLATFORM_LIBS) $(LIST)
와 같이 표시된 부분을 찾을 수 있는데
각종 변수의 정의를 scl_srvr.mak 파일 안에는 찾을 수 없음.
이러한 변수의 정의는
include ./platform.mak
명령을 통해서 처리되고 있으며,
정의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여기를 확인해야 함.
3. platform.mak 파일 안.
CROSS_COMPILER = /usr/local/ti-sdk-XXXXXXXX
와 같이 크로스 컴파일러의 실행파일이 있는 위치를 기입하는 부분이 있음.
CC = $(CROSS_COMPILER)gcc
PLATFORM_LINKER = $(CC)
결론
mmslite802.sh 파일을 실행시키면,
여러 하위 Makefile 들이 실행이 되며,
이 하위 Makefile 들이 실행될 때,
사용되는 컴파일러의 경로명, 실행파일명,
컴파일러 옵션은
platform.mak 파일 안에 기술되어 있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