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s://answers.microsoft.com/ko-kr/windows/forum/windows_10-networking/%EC%9C%88%EB%8F%84%EC%9A%B010%EC%97%90%EC%84%9C/b2a2b858-5eb6-4bea-88e7-cc3e04959ce6
위 글에서 처럼
레지스트리 설정을 변경하고
vmware tool 을 새로 설치하니 정상 동작함.
2019년 10월 28일 월요일
2019년 10월 20일 일요일
bash : 디렉토리는 제외하고, 파일만 특정 디렉토리 안으로 이동하는 명령어.
find . -maxdepth 1 -type f -exec mv {} destination_path \;
2019년 10월 5일 토요일
SISCO STACK 컴파일 방법
1. mmslite802.sh
파일 안을 보면 사용방법 주석으로 표시되어 있음.
./mmslite802.sh LINUX
./mmslite802.sh LINUX clean
그리고 파일 안을 보면
make -f scl_srvr.mak $2 라고 적혀 있는
하위 make 파일 스크립트를 호출함.
2. scl_srvr.mak 파일 안
$(EXE): $(OBJECTS) $(LIBS)
rm -f $(EXE)
$(PLATFORM_LINKER) $(PLATFORM_LDFLAGS) $(LDFLAGS) $(PLATFORM_CFLAGS) $(CFLAGS) \
-o$(EXE) $(OBJECTS) \
$(LIBS) \
$(PLATFORM_LIBS) $(LIST)
파일 안을 보면 사용방법 주석으로 표시되어 있음.
./mmslite802.sh LINUX
./mmslite802.sh LINUX clean
그리고 파일 안을 보면
make -f scl_srvr.mak $2 라고 적혀 있는
하위 make 파일 스크립트를 호출함.
2. scl_srvr.mak 파일 안
$(EXE): $(OBJECTS) $(LIBS)
rm -f $(EXE)
$(PLATFORM_LINKER) $(PLATFORM_LDFLAGS) $(LDFLAGS) $(PLATFORM_CFLAGS) $(CFLAGS) \
-o$(EXE) $(OBJECTS) \
$(LIBS) \
$(PLATFORM_LIBS) $(LIST)
와 같이 표시된 부분을 찾을 수 있는데
각종 변수의 정의를 scl_srvr.mak 파일 안에는 찾을 수 없음.
이러한 변수의 정의는
include ./platform.mak
명령을 통해서 처리되고 있으며,
정의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여기를 확인해야 함.
3. platform.mak 파일 안.
CROSS_COMPILER = /usr/local/ti-sdk-XXXXXXXX
와 같이 크로스 컴파일러의 실행파일이 있는 위치를 기입하는 부분이 있음.
CC = $(CROSS_COMPILER)gcc
PLATFORM_LINKER = $(CC)
결론
mmslite802.sh 파일을 실행시키면,
여러 하위 Makefile 들이 실행이 되며,
이 하위 Makefile 들이 실행될 때,
사용되는 컴파일러의 경로명, 실행파일명,
컴파일러 옵션은
platform.mak 파일 안에 기술되어 있다.
피드 구독하기:
글 (Atom)